종교법인 장애인복지관 운영 반대집회 일단락
종교법인 장애인복지관 운영 반대집회 일단락
조계종사회복지재단과 장애인복지발전 협력교류 협약 도출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가 조계사 앞에서 개최해 온 ‘종교법인 장애인복지관 운영 반대’ 집회가 3개월여 만에 일단락 됐다.
지난 5월 24일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은 협약을 체결하며 양 단체 간에 소모적이며 불필요한 경쟁을 자제하고, 장애인복지의 발전적 방향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을 약속했다. 특히 장애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단체 간의 의견과 입장을 존중하고 적극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그동안 장애계에서는 장애인당사자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복지관 운영기조가 확산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종교계의 장애인복지관 운영확대에 우려를 표시해왔다.
현재 수도권 장애인종합복지관 중 55.9%에 달하는 47개 기관을 종교계가 운영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10년간 개관한 복지관 중 종교계 수탁 점유율은 61%로, 점점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장애계에서는 종교계가 장애인 이용시설을 전도 목적으로 활용하고, 장애인당사자 육성 및 자립지원을 저해하는 점, 그리고 신도를 인사에 채용하거나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문제 등을 비판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 왔다.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의 경우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화성시장애인복지관 수탁을 둘러싸고 종교법인의 장애인복지관 운영을 비판하고 나선 바 있다. 2015년 조계종사회복지재단이 화성시장애인복지관의 수탁법인으로 선정된 것에 항의하며, 화성시청과 조계사 등에서 ‘종교법인 장애인복지관 운영 반대’ 규탄 대회를 진행했다. 집회에 참여한 300여 명의 장애인은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당사자가 운영해야 한다”고 외쳤다.
이번 협약에 따라 지장협과 조계종사회복지재단은 향후 장애인 복지 향상을 위해 공동 노력하며, 장애인 인식개선사업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지장협 김광환 중앙회장은 “조계종사회복지재단과 장애인 복지 발전에 협력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협약식의 의미를 전하고 “과거 사회복지분야에서 종교계의 역할이 지대하였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제 국내 복지수준은 시혜적 분배위주의 과거와는 전혀 다르다. 종교계는 장애인복지와 같은 전문적이고 당사자기반의 가치 지향적 복지 분야에 대한 접근보다는 정신적으로 척박해진 현대인의 마음치유와 가치관 설정에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며 종교계 복지참여 정책의 수정과 새로운 사회 소통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지장협은 조계종뿐 아니라 다른 종교법인의 장애인복지관 운영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장애인당사자들의 권리 확보를 위해 투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