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4457억 원 구매계획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제안
0
2180
2015.05.29 14:07
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4457억 원 구매계획
지난해보다 26.2% 증가
공공기관이 올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계획을 내놓았다.
보건복지부는 5월 11일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촉진위원회’를 열고, 지난해 구매액인 3530억 원보다 26.2% 증가한 4,457억 원어치를 구매하겠다는 계획을 의결했다.
올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예상액은 공공기관 총 구매액(39조 4000억 원)의 1.13% 수준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총 구매액의 1% 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과 노무 용역 등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지난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금액은 3,530억 원으로 전년 실적(2,958억 원)보다 19.3% 증가하는 등 매년 구매비율이 늘었다. 그러나 법정구매비율인 1%에는 미치지 못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율은 2011년 0.55%, 2012년 0.49%, 2013년 0.72%, 2014년 0.91%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관별 구매비율은 국가기관이 1.06%로 처음으로 1%를 넘어섰다. 지자체와 공기업도 전년 대비 구매액을 7.1%, 25.5% 늘렸다. 그러나 교육청은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액이 6.8% 감소했다. 복지부는 “교육청은 구매실적뿐만 아니라 우선구매 비율도 타 기관보다 전반적으로 낮아 앞으로 적극적인 구매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복지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를 촉구하기 위해 올해부터 구매실적 우수·미흡 기관의 명단공표 범위를 기관유형별 상·하위 30%로 확대한다. 구매 우수기관에 표창도 수여할 방침이다.
또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관리시스템을 통해 실적을 체계적으로 집계하고 구매 담당자들이 쉽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복지부는 향후 생산시설 지정서 유효기간을 부여하고 품질인증과 제품 포장 디자인 지원을 통해 중증장애인생산품과 생산시설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도 역량을 투여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실적 집계결과 국가기관에서는 중앙선거관리원회, 지자체에서는 부산시, 교육청에서는 서울시교육청, 공기업 등에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이 우선구매 비율과 구매실적을 고려한 종합평가에서 각각 1위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