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약자가 다니기 편한 도시 1위 ‘서울’
교통 약자가 다니기 편한 도시 1위 ‘서울’
2위 부산…광주 2회 연속 꼴지
대도시 중 서울이 장애인·고령자(65세 이상) 등 교통 약자가 다니기 가장 편한 지역으로 뽑혔다.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영유아를 동반한 승객 등 교통 약자는 2013년 말 기준 전체 인구의 약 25%인 1278만 명에 달하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교통약자 이동 편의 실태 조사를 발표해 지역별 편차가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7대 특별·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이 종합 1위에 올랐다고 2월 16일 밝혔다.
서울은 도시철도까지 포함한 평가 결과 교통수단의 기준적합 설치율, 여객시설 접근로 보행환경, 저상버스 보급률 등에서 가장 높은 82.1점을 받았다. 다음으로는 부산(74.3)과 인천(72.9)이 각각 2위와 3위로 뒤를 이었다. 광주는 2012년에 이어 최하위에 그쳤다.
도시철도를 제외한 평가에서는 인천이 보행자 사고율, 고령자·어린이 사고율, 특별교통수단 이용률 등에서 우수해 1위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은 순위가 가장 낮았다.
교통수단, 여객시설, 접근로 보행시설 등의 기준 적합률은 전체 73.2%로 2012년(71.3%)보다 1.9% 올라갔다.
교통수단별 서비스는 항공기(98.2%)가 가장 높고 노후선박이 많은 여객선(17.1%)이 가장 낮았다. 여객시설별로는 철도역사(82.2%), 공항터미널(82.2%)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버스터미널(51.5%), 버스정류장(47.3%) 등은 서비스 질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용자 만족도는 항공기가 67점으로 가장 높았고 여객선은 60점으로 최하위였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