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도입, 장애계와 의료계 의견 엇갈려
원격의료 도입, 장애계와 의료계 의견 엇갈려
“사용자 입장 배려 필요” vs “안전성 확보가 먼저”
‘의료소외계층의 원격의료 도입 모색을 위한 토론회’가 2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원격의료 도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새누리당 김정록 의원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는 2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의료소외계층의 원격의료 도입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장애인단체 관계자들은 원격의료를 사용자, 특히 의료소외계층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김영근 기획정책국장은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들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병원을 가더라도 차량을 이용해야 하고 동네병원 건물에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진료조차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원격진료가 허용되면 거동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의 의료접근성이 확대될 것”이라며 “원격진료가 중증장애인들에게는 스스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발제자로 나선 한국장애인재단 서인환 사무총장도 “간단한 진료를 받더라도 병원을 가기 위해 장애인 차량을 부르고 편의시설을 살피는 등 병원 가는 것 자체가 마치 하나의 큰 행사로 느껴지는 장애인들에게 원격의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오진 가능성, 데이터 보안, 장비구입 등 원격의료 도입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대한의사협회를 향해 “우려하는 부분들은 모두 해결 가능한 문제라 생각한다”며 “환자들의 편의를 위해 의사들이 배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장애인연맹 이영석 사무총장은 “의사가 환자를 만나서 대면진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긴 대기 시간에 비해 금방 끝나는 진료, 환자 몇 번 쳐다보지 않는 서비스 정신없는 진료를 할 바에는 원격진료를 하는 것이 낫다”고 꼬집었다.
또한 “원격진료를 인간의 존엄성 면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모든 국민이 차별받지 않고, 소외당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이찬우 사무총장은 “건강유지를 위해 병원을 자주 가야 하는 척수장애인들은 원격의료 도입에 우호적이지만 원격의료가 종합병원 가는 것 보다 못하다면 선호하지 않을 것”이라며 “완성도 높은 원격진료를 위해서는 정부가 의료소외계층의 의견에 귀기울이고 준비를 잘 해야 할 것”이라 조언했다.
반면 토론회에서 유일한 공급자인 한국병원경연연구회 정석훈 책임연구원은 의료소외계층을 위해 원격의료 도입이 필요하다는 장애계의 입장에 공감하면서도 아직까지 경험적 데이터가 없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정 책임연구원은 “원격진료는 환자의 이동, 비용 등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이 있긴 하지만 현재까지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다”며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학의 최고 정점에 있는 분들로 구성된 의학회가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 원격의료 도입을 반대한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의료계가 원격의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들을 좀 더 주체적으로 이끌어 갈 필요는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