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대상 기업 사회공헌 진화
장애인 대상 기업 사회공헌 진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최근 기업들의 장애인 사회공헌이 진일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 기업의 장애인 대상 사회공헌 활동이 ‘공헌’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면, 요즘은 기업 특성에 맞춰 가장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원하는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따뜻한 기술’ 등 기술개발, 기업의 특성과 연관되는 서비스 제공 등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이 장애인들을 위한 사회공헌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eyeCan’ 마우스와 현대자동차의 ‘이지무브’는 ‘따뜻한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보급을 시작한 ‘eyeCan‘ 마우스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PC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구마우스로 기존 1천만원대의 안구마우스와 비교했을 때, 개당 5만원 수준의 ’eyeCan’은 혁신적이라는 평가다.
현대자동차는 자동차기업답게 장애인의 이동성 확보에 관심을 가져왔다. ’05년부터 휠체어 슬로프, 회전시트 등을 장착한 ‘이지무브(Easy Move)’ 차량을 개발·보급해 왔으며, 나아가 사회적기업인 ’(주)이지무브‘를 설립하여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주)이지무브는 현대자동차그룹이 100% 출자했지만, 주식의 70% 이상을 10개 사회공익재단에 무상으로 제공하여 사회에 환원한 사회적기업으로 장애인과 노인들을 위한 보조·재활기구를 생산·판매한다.
현대자동차는 심리치료를 통한 장애아동의 운동기능과 심리건강 개선에도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이동통신 3사는 ‘소통’이라는 업의 특성을 활용한 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다.
SK텔레콤은 ‘07년 영상통화를 이용해 수화로 고객 문의 사항을 상담하는 ‘3G+영상고객센터’ 개설, 기존의 음성전화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있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LG유플러스 임직원과 자원봉사자가 신간 시집과 문학도서를 낭독·녹음한 시각장애인용 오디오북을 만들어 기부하는 참여형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보네이션(Vonation)을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보네이션은 목소리(Voice)와 기부(Donation)의 합성어이다. 한편 KT는 ’03년부터 ’소리찾기 사업‘을 통해 청각장애 아동들에게 귀 수술을 지원하여 413명에게 소리를 되찾아 주었다.
유통업체들은 자체 유통망을 활용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있다. 장애인이 고용된 사회적기업 제품의 판매를 지원하는 셈이다.
GS샵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아름다운 가게와 ‘사회적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약식’을 체결하고 그 첫 번째로 홈쇼핑을 통해 ‘위캔쿠키’를 판매했다.
GS샵은 이미 지난 추석에 중증장애인들의 직업훈련과 직장체험을 위해 설립된 ‘이룸의 터’에서 제작한 ‘맘다운 순면 물티슈’를 판매한 바 있다.
롯데홈쇼핑은 공정무역 사회적기업 ‘페어트레이드코리아’와 함께 ‘러브 앤 페어(Love&Fai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판로확대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 일환으로 지적장애인들이 고용된 사회복지법인 ‘위캔’의 쿠키 판매방송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판매 수익금은 급여로 활용되어 장애인들의 직업 자활을 돕게 된다.
이밖에도 한화건설은 건설사의 특성을 살려 서울시 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함께 장애인 시설 내 유휴공간에 ‘꿈에그린 도서관’을 조성 중이다.
2011년 3월 서대문구 홍은동 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그린내’에 ‘꿈에그린 도서관’ 1호점을 시작으로 현재 20호점까지 개관했다.
CJ는 CGV를 통해 ’12년 3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 영화 관람 데이’를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인 영화 관람 데이’는 매월 셋째 주 최신 한국영화를 상영하는 문화공헌 프로그램으로, 그동안 일반 화면으로 관람이 힘들었던 시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화면 해설(내레이션)과 자막이 삽입되어 있다.
이용우 전경련 사회본부장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사회공헌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 된지 10년을 넘어서면서 기업들이 각자 자신의 업의 특성에 어울리는 공헌활동을 찾아가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활동은 공유가치창출(CSV)과 더불어 앞으로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두가지 방향 중 하나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