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농성 1주년 투쟁대회 열려
광화문 농성 1주년 투쟁대회 열려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출범
장애인들이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 폐지를 외치며 광화문 농성에 돌입한지 어느덧 1년이 흘렀다.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광화문 농성 1주년을 맞아 ‘사람의 온도 36.5도가 모여 투쟁의 365일을 만들다’란 슬로건을 내걸고 8월 26일 오후 2시부터 광화문광장에서 투쟁대회를 개최했다.
공동행동 이형숙 공동집행위원장은 광화문 농성에 대한 기록을 영상으로 소개한 후 “지난 1년 동안 우리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광화문 농성장을 지켜왔다”며 “우리가 승리하는 그 날 까지 광화문 농성장에서 함께 하자”고 말했다.
함께가는서울장애인부모회 박인용 대표는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한 지난 1년 간의 투쟁은 장애인이 인간으로서 존중받고 그 가족들이 정상적인 삶을 누리고자 하는 처절한 몸부림”이라며 “오늘 이 자리는 농성을 마무리하는 자리가 아닌 앞으로의 투쟁결의를 다지는 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장애인등급제 폐지는 장애인이 한 사람으로서 권리를 가지고 개개인에 맞는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는, 부양의무 폐지는 가난한 이들과 그 가족들의 삶을 보살펴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며 “사회적 양심과 인권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과 연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날 투쟁대회에는 정의당 천호선 대표, 노동당 이용길 대표, 민주당 남윤인순 의원, 통합진보당 김미희 의원, 민주노총 김경자 부위원장이 참석해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해 함께 힘을 모아나갈 것을 약속했다.
이날 투쟁대회가 끝난 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등 38개 단체로 구성된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이하 연대) 출범식이 이어졌다.
연대는 “박근혜 대통령이 선거당시 장애등급제 폐지와 권리보장법 제정을 약속했지만 현재 박근혜 정부는 장애등급제를 실질적 변화 없이 중, 경으로 이름만 바꾸려 하고 있고 권리보장법 제정에 대해서는 계획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시혜와 동정의 법이 아닌 권리로 보장되는 장애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 폐지, 장애인 권리선언과 권리옹호체계 마련, 탈시설 실현 및 자립생활 권리보장 등을 위해 투쟁해 나갈 것”을 선포했다.
한편 이날 저녁 7시부터 열릴 예정이던 문화제는 경찰이 광화문광장 출입을 봉쇄하면서 장애인과 크고 작은 마찰이 벌어져 30분가량 늦게 시작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문화제에서는 중증장애인으로 구성된 노들음악대, 장애인노래패 ‘시선’ 등의 공연이 펼쳐졌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