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대장정에 나선 장애인들
국토대장정에 나선 장애인들
강릉·원주 등에서 '장애인기본법 제정' 촉구
지난 2011년부터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 제정을 위해 실시됐던 중증장애인 국토대장정이 올해는 '장애인기본법 제정'을 슬로건을 내걸고 진행된다.
장애인복지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애인의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인권을 보장해줄 수 있는 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한국DPI는 8월 16일 보건복지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일부터 30일까지 12일 동안 '제3기 중증당애인 국토대장정' 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토행군에는 전국 장애인과 비장애인 1000여명이 참여해 강릉을 시작으로 원주, 춘천, 남양주 등을 거쳐 서울로 돌아오며 장애인기본법 제정을 위한 홍보, 거리행진, 편의시설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반인권적인 시설에 대한 규탄대회도 진행한다.
한국DPI 김대성 회장은 "장애인이란 이유만으로 사회로부터 분리해 시설에 격리·수용시켜 온 그동안의 장애인정책과 제도의 문제점을 전국에 알리고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인권을 보장 받기 위해 대장정을 시작한다"고 선언했다.
이어 "시설들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권유린의 실상과 각종 비리들을 전국에 알리고 현재 시설 지원 중심의 장애인 정책 방향을 즉각 중단, 실질적인 인권보장과 자립생활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고 호소했다.
이번 3기 국토대장정에 참여하는 시설생존자연대 이종욱 위원장(33, 지체1급)은 “이번 국토대장정을 통해 반시설을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참석했다”며 “장애인도 시설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살아야 한다”고 결의를 다졌다.
지난해 2기 국토대장정 대원이었던 서울장애인인권포럼 이권희 대표는 “시설에서는 폭력, 감금, 성폭력 등의 사건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고 장애인의 인권을 담아내기에 장애인복지법에는 한계가 있다”며 “열심히 투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