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도서 없는 공공도서관
장애인 도서 없는 공공도서관
10곳 中 4곳, 점자책∙오디오북 無
전국 공공도서관 745곳 가운데 38%에 달하는 283곳이 점자책, 오디오북 등 장애인을 위한 도서를 단 한권도 비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윤덕 의원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장애인 도서가 비치된 공공도서관은 462곳으로 전체 공공도서관의 63%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최근 설립된 세종시를 제외하고 대전(66.6%), 전북(58.3%), 충북(51.5%) 등에서 장애인 도서 미비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15.7%), 전남(15.7%), 경남(19.2%) 등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또한 장애인 도서를 갖춘 공공도서관도 인쇄용 도서(점자, 큰 활자 등) 중심으로 비치해 오디오북 등 장애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만한 시설을 갖춘 공공도서관은 드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경우 장애인 도서 비치율이 각각 67%, 59%로 평균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으나 실제 이 지역의 장애인 인구가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감안하면 타 지역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게 중론이다.
김윤덕 의원은 “장애인의 문화향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배려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가의 예산이 장애인과 소외계층을 위해 적절하게 쓰일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2월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과 출판영상물 접근 이용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