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여성의 안전한 출산을 위해 의료서비스 지원 필요
장애여성의 안전한 출산을 위해 의료서비스 지원 필요
임신·출산 넘어 포괄적 재생산 과정에 대한 지원 요구
“장애여성이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려면 관련 의료 정보와 산부인과 병·의원 접근성 등을 개선해야 한다.”
“서울시 장애여성의 안전한 임신과 출산, 양육을 위한 「여성장애인 임신, 출산, 양육 지원조례(가칭)」 제정이 필요하다.”
정책연구기관 ㈜오픈엔진20 배선희 대표가 2월 25일 서울시의회 별관에서 김영한 서울시의원 후원으로 주최한 ‘장애여성의 안전한 출산을 위한 의료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공청회에서 제기한 내용이다.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여성이 임신 기간 중 겪는 애로사항으로 장애아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23%, 병원비 부담 16%, 건강 악화에 대한 두려움이 11%로 나타났다.
장애여성이 원하는 서비스로는 육아지원서비스 16.1%, 장애여성 전문병원 11.8%, 출산비용 지원 9.4%, 가사도우미 9.4%, 건강관리 프로그램 8.9%로 육아와 의료에 대한 욕구가 주를 이뤘다.
배 대표는 “장애여성도 임신·출산·양육에 있어서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지 않고 모성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며, 장애여성의 권리 향상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무장애산부인과 병·의원 서비스기준 법제화, ▲권역별 장애여성 친화 산부인과 병원 지정, ▲장애여성 산모를 위한 의료용 보장구 개발 및 보급, ▲장애여성 산모 임신출산용품 대여센터, ▲장애여성 전용·통합 공공산후조리원 보급, ▲여성장애인 임신·출산·양육 지원조례(가칭) 제정 등 14가지로 이 중에서도 배 대표는 지원조례 제정이 우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박유미 과장도 “이번 연구과제가 서울시 추진 사업과 비슷한 점이 있다”며 조례지정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