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고용 증대,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제안
0
2349
2016.09.07 10:45
중증장애인 고용 증대, "어떻게 해야 할까?"
직업재활시설 활성화 필요
중증장애인 고용증대를 위한 추진연대(이하 중고연)는 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중증장애인 고용증대를 위한 전략 모색 토론회’를 8월 29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개최했다.
지난 6월 8일 진행한 중고연의 제1차 토론회는 중증장애인 고용의 걸림돌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했다면, 이번 2차 토론회는 중증장애인 고용증대를 위해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토론회 발제를 맡은 광주여대 재활학과 김성진 교수는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는 569개소의 직업재활시설이 있으며, 이곳에서 장애인 1만 6천여 명이 일하고 있다. 이중 중증장애인은 94.2%를 차지한다.
김 교수는 “직업재활시설은 시설의 양적 성장에 비해 여전히 정체성과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시설들이 ‘생산·고용·훈련·전이’라는 법적 목적을 부여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 교수는 현행 법률의 정의가 현실에 부합한지를 고민해 시설의 목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 보호작업장과 근로사업장의 유형을 현장 중심으로 탄력적 개편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론과 선진국형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직업재활 현장에 맞도록 재편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말단까지 잘 조직된 탑 다운(top down) 형태로 보호작업장, 근로사업장, 직업적응훈련시설 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향식(bottom-up) 방식으로 시설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다만 직업재활시설 본연의 기능을 잃지 않도록 최저 서비스 기준을 설정해 최소한도의 규정과 지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결국 사업성 측면과 보호고용 측면의 이분법적 규정이 아닌 중증장애인 고용 창출과 고용 유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뜻이다.
단순 고용 넘어 고용 유지 노력해야
김 교수는 이어서 중증장애인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만큼 고용 유지 또한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증 지적장애인의 근속기간은 전체 장애인 평균인 112개월보다 월등히 낮은 38개월 정도다. 이들은 업무내용이나 업무량 등의 조정을 원하고 있어 직무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 교수는 “취업 결과 중심의 성과 우선주의와 예산부족으로 직무지원인 사업을 확장하지 못하고 있다”며 확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이상진 사무총장은 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대체로 공감하며, 추가적으로 고용률이 낮은 장애유형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015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뇌병변장애는 10%의 고용률을 보였고, 정신장애는 11.9%, 호흡기장애 14.1%, 자폐성장애 14.5%, 뇌전증장애 16.3%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형별 고용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상진 사무총장은 고용노동부가 추진 중인 보조공학 지원, 근로지원인, 중증장애인 인턴제 도입 등이 실질적인 고용 활성화에 기여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연도별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토론자인 라이프라인장애인자립진흥회 박승유 이사는 직업재활 지원 사업이 고용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고용률보다는 직업상담, 직업평가 및 지원, 적응훈련 등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일시적으로 고용률을 올린다 하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원상태로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대구여성장애인연대 권순기 대표는 “중증장애인 못지않게 여성장애인의 고용률도 심각하게 낮다”고 발언했다. 이에 따라 직업재활시설의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현황도 분석해 여성장애인의 고용증대고 같이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중고연 측은 오는 11월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법률과 제도 개정을 골자로 제3차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 교수는 이어서 중증장애인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만큼 고용 유지 또한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증 지적장애인의 근속기간은 전체 장애인 평균인 112개월보다 월등히 낮은 38개월 정도다. 이들은 업무내용이나 업무량 등의 조정을 원하고 있어 직무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 교수는 “취업 결과 중심의 성과 우선주의와 예산부족으로 직무지원인 사업을 확장하지 못하고 있다”며 확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이상진 사무총장은 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대체로 공감하며, 추가적으로 고용률이 낮은 장애유형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015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뇌병변장애는 10%의 고용률을 보였고, 정신장애는 11.9%, 호흡기장애 14.1%, 자폐성장애 14.5%, 뇌전증장애 16.3%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형별 고용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상진 사무총장은 고용노동부가 추진 중인 보조공학 지원, 근로지원인, 중증장애인 인턴제 도입 등이 실질적인 고용 활성화에 기여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연도별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토론자인 라이프라인장애인자립진흥회 박승유 이사는 직업재활 지원 사업이 고용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고용률보다는 직업상담, 직업평가 및 지원, 적응훈련 등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일시적으로 고용률을 올린다 하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원상태로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대구여성장애인연대 권순기 대표는 “중증장애인 못지않게 여성장애인의 고용률도 심각하게 낮다”고 발언했다. 이에 따라 직업재활시설의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현황도 분석해 여성장애인의 고용증대고 같이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중고연 측은 오는 11월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위한 법률과 제도 개정을 골자로 제3차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